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부린이 탈출기28

주택의 종류 주택의 종류는 무엇을 기준으로 나누냐에 따라 구분하는 방법이 다르지만 일단 등기를 기준으로 구분해 보자 등기가 하나의 등기로 되어있는지 세대별 각각 구분 등기되어 있는지에 따라 구분하면 단독 등기-단독주택/다중주택/다가구주택 구분등기-다세대주택/ 연립주택/아파트/오피스텔(주거용)/도시형 생활주택(원룸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단독등기 단독주택 한세대가 하나의 건축물 안에서 독립된 주거생활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주택을 말한다 주거로 쓰는 공간이 3개층 이하로 되어있다 연면적 330㎡이하로 지어진다 한세대를 위한 주택이다 다중주택 단독주택의 일종으로 주거로 쓰는 공간은 3개층 이하로 지어진다 연면적은 단독주택과 같이 330㎡이하로 지을 수 있다 다중주택의 특징은 개별취사시설이 안되어 있다는 것이다. 개별 .. 2022. 11. 20.
공시지가 1억이하 주택의 대한 모든것 요즘 경매 물건을 보면서 어떤 것을 입찰해야 하나 고민을 많이 하게 됩니다 일단 대출 금리가 너무 많이 올라서 대출을 많이 받아야 하는 물건은 일단 패스... 그러다 보니 자꾸 적은 금액에 눈이 많이 가게 됩니다. 주택을 하나 보유하고 있다면 다시 주택을 하나 낙찰받는다는 게 쉬운 일은 아니죠 법인을 내야하나 하는 고민도 생깁니다 그래서 오늘은 공시지가 1억 이하의 주택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과연 법인을 내지 않고 주택을 낙찰 받으면 세금을 얼마나 내야 하는지가 문제겠죠. 공시지가 1억이하의 주택에 대한 우리의 고민 공시지가 1억이하의 주택을 사면 세금은 어떻게 될까요? 공시지가 1억이하의 주택을 사면 알아야 하는 모든 것에 대해 파헤쳐 보겠습니다 매수 시점에서 취득세와 보유할 동안의 종합부동산세,.. 2022. 11. 12.
오피스텔과 도시형 생활주택 오피스텔과 도시형 생활주택(원룸형)의 차이점 오피스텔과 도시형 생활주택은 적용하는 법령부터 다르다. 오피스텔의 경우 건축법이 적용되고, 도시형 생활주택의 경우 주택법이 적용된다. 오피스텔은 사용목적이 주택은 아니라는 것이다. 하지만 주택으로 쓰게 되면 주택이 된다. 도시형 생활주택은 처음부터 주택이다. 도시형 생활주택은 단지형 다세대와 단지형 연립주택, 원룸형으로 되어있으며, 국민주택 규모의 300세대 미만으로 구성된다. 서민과 1~2인 가구의 주거안정을 위해 만들어졌다. 건축물의 용도는 공동주택에 해당되지만, 주택법에서 규정한 감리대상에서 제외되고, 분양가 상한제도를 적용받지 않는 등의 주택건설사업자에게 여러 가지 혜택을 주었다. 오피스텔 주택수 포함-분양 받을 당시에는 미포함(주거용으로 사용하며 전입.. 2022. 11. 10.
제1종 근린생활시설, 제2종 근린생활시설 근린생활시설이란 근린생활시설이랑 주거지에서 주민 생활에 필요한 시설 중에서 주거에 어느 정도 친밀도가 있느냐에 따라 제1종 근린생활시설과 제2종 근린생활시설로 나뉜다 제1종은 주민생활에 필수시설이며, 제2종은 1종보다 큰 규모의 시설, 취미생활, 편의생활 관련 시설을 말한다 1. 제1종 근린생활시설이란 일용품을 판매하는 소매점, 이용원, 의원, 탁구장, 마을회관 등 주택가와 인접해 있으며 주민들의 생활 편의를 도울 수 있는 시설을 말한다 1) 건축법에 의한 용도별 건축물 종류-1종 근린생활시설(바닥면적별 구분) 30㎡ 미만-금융업소, 사무소, 부동산 중개사무소, 결혼상담소등 소개업소, 출판사 등 일반 업무시설 300㎡ 미만-휴게음식점, 제과점, 500㎡ 미만-탁구장, 체육도장 1천㎡ 미만-일용품 등의 소.. 2022. 11. 5.
1인 부동산 법인 세금 총정리 1.1인 법인 부동산을 매수해서 수익을 남기려면 어쩔 수 없이 다주택자가 될 수밖에 없다. 부동산으로 수익을 내는 과정에서 민감해질 수밖에 없는 부분이 세금이다. 이 때문에 고려하는 것이 매매사업자와 1인 부동산 법인이다. 오늘은 1인 법인에 대해 얘기해보려고 한다. 꾸준하게 1인 법인에 대해 언급이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수익창출면에서 취득가와 양도가를 우리가 바꿀 수 없다면 수익의 극대화는 절세를 통해서만이 가능하다. 하지만 당장 앞에서 보이는 수익이 조금 낫다고 해서 무조건 그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옳다고는 말할 수 있나?. 앞에서 남고 뒤로 밑지는 상황은 아닌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국세청에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부동산 관련 사업자 현황에서 최근 5년간 부동산을 사고파는 것을 주 업.. 2022. 10. 4.
다중주택과 다세대의 차이 다중주택과 다세대 다중주택이란 3개층이하로 연면적 330㎡이하의 건물로 하나의 등기로 되어 있고, 주차장이 1~2대 정도 가능하게 되어있다. 다중주택이란 개별취사시설이 불가능하며, 공용취사시설만 허용이 된다 다세대주택이란 4개층이하로 각 세대별로 분양이 가능하다 (구분 소유가 가능하다는 말이다) 1층이 필로티 구조로 쉽게 계산하자면 가구수 x 0.8정도 계산하면 주차장 숫자가 나온다 다세대라고 생각하고 건축물 대장을 발급받으면 도시형생활주택이라고 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다세대가 단지형으로 되어 있는 단지형 다세대를 도시형생활주택이라고 한다 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은 2009년 5월부터 시행된 주거 형태로 단지형 연립주택, 단지형 다세대주택, 원룸형 주택으로 300세대 미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2022. 9. 29.